IT는 신기술이 끊임없이 출현하는 기술의 산실로 받아들여진다. 적어도 외견상 그러하다. 하루가 멀다 하고 영어 단어 앞 글자를 딴 새로운 IT 용어가 탄생한다. ERP, CRM은 물론 APM(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BPM(Business Performance Management), CPM(Corporate Performance Management), ALM(Application Lifecycle Management), ILM(Information Lifecycle Management) 등등….

이러한 용어의 홍수에도 불구하고 IT에서 신기술의 출현은 그리 쉽게 이뤄지지 않는다. 작년 국내 IT 시장에서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던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BPM) 역시 신기술이 아니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BPM은 비즈니스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BPR)에서 ‘프로세스’라는 부분과 BPR의 대표주자격인 전사자원관리(ERP)에서 관리가 이뤄지지 않았던 ‘워크플로우’ 개념을 접목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

신기술이라면 당연히 그 내면에 갖추고 있어야 할 기술적 토대나 철학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BPM은 장기적으로는 다른 개념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이렇게 보면 IT에서 엄격한 의미의 신기술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 듯 보인다. 웹서비스나 서비스 기반 아키텍처(SOA), 그리드 등 최근 부각되고 있는 기술들 역시 웹과 통신 프로토콜, P2P 기술들을 기반으로 단계적으로 발전해 왔기 때문이다.

과거의 기술과 커다란 기술적 차별점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각광받는 분야는 분명히 그만한 이유가 있다. 고객이 느껴왔던 불편함을 어떤 식으로든 해결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BPM이 신기술은 아닐지 몰라도 그전까지는 구현되지 못했던(혹은 안했던) 전사적 단위의 프로세스를 가시화했다. 고객들은 눈에 보이지 않던 부분을 보여주니 환호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처럼 고객의 요구를 면밀히 파악하면 반드시 신기술이 아니더라도 새로운 트렌드를 주도할 수 있다. 이는 국내 SW 기업들에게도 그대로 적용된다. 문제는 고객의 문제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극복하고 있는지와 구현 방식을 최신 기술 표준을 근간으로 하고 있느냐 정도일 것이다.
지난달 티맥스소프트가 발표한 차세대 프레임웍이 고객들에게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다고 한다. 티맥스의 기술 역시 신기술은 아니다. 예전부터 존재해온 코어뱅킹 기술과 비즈니스 룰 엔진을 접목해 개발 생산성을 향상 시켰을 뿐이다.

각광받는 IT 기술은 간혹 ‘콜룸부스의 달걀’을 떠오르게 한다. 고객이 가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히 콕 찍어 긁어주는 것이 어쩌면 진정한 기술력이 아닐까? 그것이 첨단 진동 안마기든, 수제 효자손이든 무슨 상관이랴. 동서양 사람들의 가려운 등을 긁어줄 수만 있다면…. 전문성을 갖춘 국내 기업들의 선전을 기원해 본다.<이강욱 기자>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