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aS 기업 및 민간 클라우드 산업 육성 등이 골자

[아이티데일리] 지난 2월 정부가 클라우드 강국을 목표로 그려오던 밑그림에 본격적으로 색을 입히는 작업에 들어갔다. 바로 산‧학‧연 관계자 40명으로 구성된 ‘제3차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기본계획(2022~2025)’을 만들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수립한 것이다. 이 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업계는 “앞서 2번의 기본계획은 클라우드 확산을 위한 기반 마련에 집중해 기업들이 실제 클라우드 사용 확대를 체감하기는 어려웠다”면서, “이번 3차 기본계획으로 본격적인 확산이 시작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클라우드 선진국으로 가기 위한 계획을 1차, 2차에 걸쳐 수립한 바 있다. 2015년 클라우드 확산 기반을 다지기 위해 ‘제1차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기본계획(2016~2018)’을 세웠다. 1차 기본계획에는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기술을 알리고, 클라우드 산업을 만들기 위한 계획들이 포함됐다. ‘제2차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기본계획(2019~2021)’에서는 본격적으로 확산에 필요한 법‧제도를 개선하는 데 집중했다.

아울러,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 뉴딜 핵심 과제인 데이터·AI 활성화를 위한 ‘클라우드 산업 발전전략’도 발표했다. 후속 조치로 공공부문 클라우드 전면 전환, 디지털 서비스 전문계약제도, 클라우드 바우처 사업 및 플래그십 프로젝트 등을 추진하고 있다.

6월 30일 공개될 예정인 ‘3차 클라우드 기본계획’은 민간 클라우드 확산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활성화가 키워드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SaaS 활성화를 통해 클라우드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민간 클라우드 산업도 함께 육성될 것으로 보인다.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가 국내 SW 기업에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 SaaS화를 도와주는 바우처 사업도 확산되고 있다. 3차 클라우드 기본계획에는 이 같은 사업들이 대거 포진될 전망이다. 또한, 3차 클라우드 기본계획에는 데이터센터 정책, 인력양성 방안, 해외진출 등 전‧후방 산업을 모두 고려한 종합적인 클라우드 생태계 활성화 방안도 담길 예정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클라우드 기업들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도록 규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어 추가적인 논의도 필요하다. 최근 공공 클라우드 센터에 대해 정부와 클라우드 기업들이 충돌하는 상황이다. 현재 국내 클라우드 시장에서 민간 분야를 외국 CSP들이 장악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CSP들이 외국 CSP들에게 견줄 수 있도록 경쟁력을 기를 수 있는 공공시장마저 정부에서 공공 클라우드 센터라는 이름으로 다시금 규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에 한 사원이 입사해 일 처리 능력이 극에 달하는 시점이 입사 후 7년, 과장 직급일 때라고 이야기한다. 클라우드 발전 기본계획도 추진된 지 7년이라는 시간이 지나고 있다. 본격적으로 국내 클라우드 산업이 꽃을 피워야할 시점이라는 얘기다. 이번 3차 클라우드 기본계획은 1, 2차 기본계획과는 달리 ‘준비 단계’가 아닌 ‘출발 단계’다. 준비 단계가 지지부진할 수는 있지만, 출발 단계는 그래선 안 된다. 출발할 때 발이 꼬이면 그 순간 경기는 망가지게 되듯, 이번 3차 기본계획도 마찬가지다. 보다 폭넓고 다양한 지원 방안을 구성해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