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비확보 등 참여 기업 비용부담, 우선협상 대상으로 실시해야

[아이티데일리] 육군‧공군에서 발주한 군 네트워크(NW) 사업에 대해 중소‧중견 SI 기업들의 불만이 많다. 사업 과정에서 진행되는 ‘사전 벤치마크테스트(BMT)’ 때문이다.

현재 군 네트워크사업은 우선협상자를 대상으로 BMT를 실시하는 일반적인 공공 네트웍크사업과 달리 모든 참여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BMT와 관련, 군에서 발주한 NW SI 사업은 제안요청서(RFP) 공개 후, 참여 기업들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협의를 거쳐 BMT를 진행한다. 이때 참여 기업들은 시험 대상 장비를 TTA에 제공해야 한다. 사업자 선정과정에서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와 관련된 정부 지침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며 관행적인 프로세스를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군의 이러한 관행은 업계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실효성도 없다는 데 문제점이 있다. 사실 사전 BMT의 목적은 사업자 선정 이전에 성능이 떨어지는 장비를 확실하게 걸러내자는 것이다. 사전 BMT가 일반적이었던 10~15년 전에는 각종 NW 장비에 성능 이슈가 발생한 경우가 있었다. 검증이 필요했던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과거와 상황이 크게 다르다. 장비의 성능은 크게 향상됐고,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성능 데이터시트의 신뢰도도 높다. 특히 다른 기관에서 흔히 사용되는 장비까지 사전 BMT를 진행할 필요가 있을까라는 의문도 든다.

이런 여러 이유로 공공기관의 많은 NW 사업은 사전 BMT에서 사후 BMT로 변경됐다. 실제 공공기관을 비롯해 교육기관, 공항 등에서 발주한 사업은 대부분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마친 후 BMT를 진행하고 있으며 프로젝트 수행에 별다른 문제가 없다.

현재 유독 군 사업에서만 사업자 선정 이전에 BMT를 진행하고 있다. 실제 지난달 진행됐던 공군기지 네트워크 개선 사업 외에도 연내 예정된 육군 네트워크 사업 등도 사전 BMT를 필수로 하고 있다.

현재의 사전 BMT는 기업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특히 소프트웨어와는 달리 네트웍 장비는 하드웨어 특성상 BMT를 위한 장비 확보가 쉽지 않다. 통상 BMT를 위해 장비를 확보해놓고 있는 업체는 드물다. BMT를 위해 제조사에서 장비를 빌려오거나 직접 구매를 해야 한다. 해외에서 구입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상황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BMT를 위해 수억을 들여 장비를 도입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러한 비용을 들여 사업을 수주하면 다행이다. 그러나 사업을 수주하지 못하면 그동안 BMT에 들인 비용은 고스란히 허공에 날린 셈이 된다. 군 네트워크 사업의 사전 BMT가 사후 BMT로 바뀌어야 한다는 업계의 주장이 설득력이 있는 이유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