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현 맨텍 OM본부 상무

[아이티데일리] 클라우드 시대가 무르익고 있다. 기업 및 기관들은 모두 클라우드라는 새로운 물결에 몸을 싣고 비즈니스 혁신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초기 퍼블릭 클라우드 열풍을 넘어 이제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라는 한층 복잡한 IT환경을 마주하면서 당초 기대와는 달리 원하는 만큼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클라우드 업계 전문가들은 “클라우드 구축 이전 기업의 비즈니스에 맞도록 확장성에 중점을 둔 설계와 전략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컴퓨터월드/IT DAILY는 기업들이 실패하지 않고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구축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고자 지난달 26~27일 양일간 ‘2021 클라우드 웨비나’를 개최했다. 국내 클라우드 업계 발전을 위해 바쁘게 뛰고 있는 산업계·학계의 전문가들로부터 멀티·하이브리드 구축 전략과 인공지능(AI)·데이터 활용 방안 등에 대해 들어본다.


쿠버네티스 기반 PaaS를 통한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혁신과 활용 사례

이진현 맨텍 상무는 최근 IT업계에 뜨겁게 떠오른 쿠버네티스와 PaaS를 통한 멀티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혁신과 활용 사례에 대해 발표했다. 클라우드 시대가 도래하면서 주목받고 있는 컨테이너와 쿠버네티스는 어떤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지, PaaS는 왜 필요하게 됐는지, PaaS에서 컨테이너와 쿠버네티스가 하는 역할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 쿠버네티스를 어떻게 활용하면 좋은지 몇 가지 활용 사례를 짚어보는 시간으로 세션을 준비했다.

지난 10년간 클라우드는 IaaS(서비스형 인프라)를 위주로 발전해왔다. 그리고 이제는 PaaS의 시대가 됐다. IaaS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와 같은 컴퓨팅 인프라를 어떻게 하면 빠르게 배치하고 할당할까 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만들어진 IaaS 위에는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필요한 시스템 SW, 미들웨어와 데이터베이스(DB) 개발자의 런타임, 프레임워크 등이 올라간다. 그리고 이러한 SW 준비 작업은 과거에는 모두 수동으로 이뤄졌다.

하지만 오늘날 비즈니스의 변화가 빨라지면서 SW의 배포 주기 역시 빨라지고 있다. 이에 자동으로 자원의 할당이 이뤄지는 IaaS처럼 SW 역시 자동으로 할당해야 할 필요가 생겼다. 이를 위해 나온 개념이 바로 PaaS다.

PaaS는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 환경을 플랫폼 형태로 제공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즉 하부에 인프라가 할당되면 그 위에 운영체제와 미들웨어, 데이터베이스, 프레임워크까지 자동화된 방식을 사용해 이미지 형태로 할당하는 것이 PaaS이며 그 위에 개발자들이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맞게 런타임을 개발해 탑재하는 방식이 된다.

그렇다면 컨테이너는 가상머신(VM)과 무엇이 다르며 왜 생겨났는가? VM과 비교해 컨테이너가 갖는 가장 큰 차이점은 운영체제(OS)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는 OS에 대한 종속성이 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컨테이너는 단지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환경 변수만을 갖고 있다. 그리고 OS는 호스트에서 갖고 있는 OS의 커널만 공유하며, 환경 변수만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방식이다. 즉 ▲OS가 없어 아주 작은 사이즈를 가지며 ▲이는 구동 역시 아주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로 옮길 수 있는 뛰어난 이식성을 가지며 ▲OS와 하이퍼바이저로 인해 발생하는 호환성 문제도 해결된다. 마지막으로 ▲한번 만들어지면 배포하고 나서는 수정이 불가능하다는 특징도 있다.

그리고 늘어난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것을 오케스트레이션이라고 하며, 이를 담당하는 것이 현재 업계 표준으로 자리한 ‘쿠버네티스’다. 쿠버네티스는 대규모 컨테이너에 대한 배포와 관리를 할 수 있다. 다중의 호스트를 클러스터로 묶어 관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컨테이너의 스케줄링, 자동 스케일아웃, 롤링 업데이트, 롤백 등 다양한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초기에는 다양한 오케스트레이션 툴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쿠버네티스로 통일된 상태이며, 다양한 에코 솔루션과 연계해 PaaS 솔루션의 핵심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현재 많은 고객들이 사례 따라잡기 형태로 쿠버네티스를 공부하고 있다. 이진현 상무는 쿠버네티스 기반의 PaaS를 어떻게 활용했는지 ▲데브옵스(DevOps) ▲멀티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MSA(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등 3가지 고객 사례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맨텍이 데브옵스 적용 예로 든 것은 국내 최대 콜센터 아웃소싱 업체로, 180여 고객사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컨테이너 기반으로 자동화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예로는 국내 굴지의 대기업이 구축한 빅데이터 플랫폼이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MSA는 국방 부문의 영상정보 분석 시스템을 컨테이너 기반 PaaS로 구축한 사례가 소개됐다.

이진현 상무는 “모놀리식 구조에서는 영상데이터를 불러 오거나 분석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지만, 각 서비스별로 MSA 구조를 적용해 쪼갬으로써 효율성이 매우 높아졌다. 또한 복잡한 구조 자체를 쿠버네티스 기반의 컨테이너 구조로 만들면서 빌드와 배포, 컨테이너 구동과 확장 과정이 모두 자동화됐다”고 덧붙이며 발표를 마무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