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 깔린 금융 마이데이터, 플랫폼 경쟁에 불 붙는다
데이터 제공 인프라 구축 완료…앞다퉈 서비스 출시에 박차

[아이티데일리] 지난 1월, 금융위원회를 통해 API 방식의 이하 금융 마이데이터 사업이 전면 시행됐다. 지난해 금융 분야 28개 주요 업체들이 본 허가를 받은 데에 이어 약 1년 만이다. 그동안 금융 마이데이터 사업의 본 허가를 얻은 기업은 55개사로 늘었으며, 빠르게 마이데이터 서비스 체계를 갖춘 17개 기업은 이미 지난해 12월부터 시범 서비스를 개시했다.

마이데이터 사업이 국내 데이터 생태계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금융 업계는 지난해 대부분의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을 마무리하면서 서비스 출시의 초읽기에 들어갔다. 이에 아직 마이데이터 관련 인프라가 마련되지 않은 타 산업계에서도 금융 마이데이터 사업의 행보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승자독식 노리는 디지털 플랫폼 경쟁

마이데이터는 데이터의 관리 주체를 기존의 기업 중심에서 개인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주체인 개인이 원할 때 특정 기업이 보유하고 있던 데이터들을 제3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데이터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쉽게 말해 고객의 명확한 동의가 있다면 고객에 대한 정보를 다른 기업에게 넘겨줄 수 있다는 것이다. 해당이미 유럽이나 호주를 포함한 다수의 국가에서는 몇 년 전부터 관련 제도 마련에 집중해왔으며 이미 일부 서비스들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국내에서는 최근 몇 년 사이에 코로나19가 야기한 비대면 문화가 급격히 확산되고 금융사들이 앞다투어 디지털 전환에 나서면서, 금융 분야에서는 디지털 플랫폼 선점을 위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마이데이터 사업은 디지털 플랫폼 선점의 핵심이다. 하나의 플랫폼에서 다양한 기업 서비스에 흩어져있던 금융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할 수 있다면 고객의 충성도를 높이는 데에 크게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지난 2019년 시행된 개방형 금융결제망(오픈뱅킹)에서도 증명된 바다. 금융결제원이 구축한 오픈뱅킹 시스템은 관련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주요 금융기관들이 타 기업이 보유한 고객의 계좌 잔액 조회나 단순이체, 거래 내역 조회 등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은 주로 이용하는 은행 앱 하나만 설치하면 다른 금융사에 있는 본인의 금융 정보들을 조회하거나 일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고, 해당 앱의 사용률과 금융사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기업은 타사의 금융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별도로 구축하던 펌뱅킹 대신 금융결제원의 오픈뱅킹 시스템을 이용하면서 인프라 관리 비용이나 수수료도 크게 절감할 수 있었다.

본인신용정보관리업(금융 마이데이터) 허가 현황 (출처: 신용정보협회)

사업 주체 다양해지면서 서비스 다양성 늘어

오픈뱅킹 시스템이 금융사들을 중심으로 구축된 것이었다면, 금융 마이데이터 사업은 적절한 자격만 갖추고 있다면 분야에 관계없이 다양한 기업들이 자격을 획득할 수 있다는 게 차이점이다. 오픈뱅킹은 초기에 16개 일반은행과 2개 인터넷전문은행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고, 이후 저축은행같은 제2금융권 은행들과 투자사 등으로 서비스 제공 범위가 확대됐다. 실제로 지급결제 기능을 보유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셈이다. 반면 마이데이터 사업에는 주요 은행이나 보험‧투자‧증권사 등은 물론, 새롭게 떠오르는 핀테크 기업이나 통신사, SI 기업 역시 참여할 수 있다. 이는 오픈뱅킹이 금융서비스를 편리하게 연결하고 제공하려는 목적에서 시행된 반면, 마이데이터는 개인의 금융정보를 원활히 교환하고 활용하려는 목적에서 시행됐기 때문이다.

물론 아직까지 금융 마이데이터 사업을 선도적으로 이끌어가고 있는 것은 이미 해당 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핵심 금융사들이다. 가령 신한은행은 고객의 체계적인 자산관리를 돕는 마이데이터 브랜드 ‘머니버스(MoneyVerse)’를 출시했다. 머니버스는 고객의 금융 수익‧소비 패턴 등을 분석해주는 것은 물론, 다양한 곳에 숨어있는 포인트를 찾아주거나 관심있는 투자 정보까지 알려준다. 하나은행은 그룹사들의 서비스들을 결합해 통합 제공하는 ‘하나 합’을 내놨다. 고액 자산가들의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자신의 투자 정보를 분석하고 재테크 노하우를 배울 수 있는 ‘부자 되는 투자 노하우’ 서비스나, 현재 소득 수준과 소비 패턴을 분석해 장기적인 자금 마련 계획을 세울 수 있는 ‘미리 하면 쉬워지는 은퇴 준비’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핀테크 기업들의 약진도 눈에 띈다. 기존에는 기업이나 고객 정보를 스크래핑 방식으로 읽어와야 했지만, 금융 마이데이터 사업이 본격 시행되면서 API 방식으로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금융감독원이 운영하는 전자공시시스템 오픈DART(OpenDART)는 국내 8천 개 이상의 기업 정보를 API 방식으로 제공하고 있다. 오픈DART 홈페이지에서 API를 연동할 수 있는 방법까지 소개하고 있어, 투자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 기업 입장에서는 예전보다 훨씬 편리하고 빠르게 유용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 셈이다.

뱅크샐러드는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서비스를 개선하는 한편, 건강 분야까지 서비스 범위를 확대했다.

대표적인 자산관리 전문 앱 ‘뱅크샐러드’는 금융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본격화되면서 자사 서비스를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됐다. 뱅크샐러드와 같은 핀테크 기업들은 기존에도 고객의 다양한 금융정보들을 통합 분석해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왔다. 금융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본격화되면서 기존 스크래핑 방식을 API 방식으로 전환해 데이터 수집 속도를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운영 비용을 절감했다. 최근에는 자산관리 서비스로 다진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건강 분야까지 진출해, 건강검진 정보나 예방접종 내역 등을 확인하거나 맞춤형 건강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서비스까지 제공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