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 상호저축은행의 IT부서는 사라질 것인가?
금융감독원은 올해 초 저축은행의 개별 전산시스템을 중앙회 시스템으로 통합하기로 하고 이에 대한 유도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대한 첫 번째 움직임으로 얼마 전 저축은행 대상의 워크샵을 개최했으며 이를 통해 중앙회 전산망에 가입되지 않은 50개 저축은행이 통합을 거부할 경우 상시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내 영업을 하고 있는 저축은행은 총 110개. 이 중 영업 정지된 저축은행 2개를 제외한 108개 저축은행 중 58개가 중앙회 소속의 전산망을 이용하고 있으며 나머지 50개는 개별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한중저축은행 분식회계로 촉발
금감원의 통합 방안은 개별 IT 시스템을 운영하던 한중저축은행의 분식회계 사건으로 촉발됐다. 한중저축은행은 올해 초 소액신용대출의 부실로 BIS 자기자본비율이 -39.73%까지 내려가자 영업정지를 우려해, 분식회계를 했다. 한중저축은행은 전산조작을 통해 회계장부를 조작하는 부정을 저질렀고 금감원은 이를 계기로 저축은행 시스템을 통합, 감시체계까지 통합하자는 방침을 세웠다.
여기에 금감원은 저축은행의 자본력으로는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이 힘들것으로 보고 통합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저축은행은 재해복구시스템, 회선장비 2중화, 네트워크장비 2중화 등 시스템 안정화를 위한 체계 마련이 타 금융기관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금감원 발표 자료에 따르면 비 통합 저축은행 50개중 통신장비2중화를 갖추지 못한 저축은행은 29개, 통신회선 2중화를 갖추지 못한 은행은 41개, 무정전 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저축은행은 41개에 달하고 있다. 특히 금감원 의무사항으로 돼 있는 재해복구시스템 구축은 지난달까지 시스템을 완료한 중앙회를 제외하고 아직 1군데도 없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시스템 교체시기에 따라 2008년 교체 주기인 저축은행은 내년 말까지, 2008년 이후 교체주기가 완료되는 저축은행은 2007년까지 중앙회 시스템 망에 통합하는 방침을 정했다.
금감원은 통합 방침을 거부한 비통합 저축은행을 대상으로는 감독 주기 단축과 안정성을 중심으로 한 IT 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다. IT 감독은 재해복구시스템, 통신장비 및 통신회선 2중화, 무정전시스템 등 저축은행이 갖추지 못한 시스템을 중심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또 금감원은 저축은행 IT 담당자들의 반발을 예상, 통합으로 인한 잉여 인력에 대해서는 고객데이터 관리 요원으로의 전환과 중앙회 인력 충원 시 우선 채용하는 방안을 중앙회와 협의해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비통합 개별 저축은행 반발
금감원은 중앙회를 통한 IT 서비스 개선도 추진할 방침으로 저축은행중앙회는 올해 하반기부터 대대적인 애플리케이션 교체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중앙회는 지난해 하드웨어 교체 작업을 완료했으나 예산 등의 문제로 애플리케이션 교체까지는 진행하지 못했다.
이를 올해 추진해 빠르면 7월, 늦어도 8월까지는 회원사를 중심으로 한 의견수렴을 마치고 1년여에 걸쳐 교체 작업을 진행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이런 금감원의 방침에 저축은행 IT 담당자들은 반발하고 있다. 경쟁력 향상을 위해 개별시스템으로 전환해가는 최근 금융권 추세에 역행하는 결정이라는 것이다. 증권사의 경우 기존에는 증권전산(현 코스콤)의 원장시스템을 공동으로 이용했으나, 1990년대 후반부터 자체 원장시스템을 가져가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
통합시스템으로 운영될 경우 제일 우려되는 부분은 새로운 고객 서비스 출현에 대한 대응력이 현저히 낮아진다는 점이다. 저축은행측은 갈수록 심화되는 경쟁 속에서 자체적인 고객시스템을 운영해야 자생력을 키워갈 수 있다는 논리로 맞서고 있다. 또 시스템 장애 시의 책임소재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는 분위기다. 시스템 장애나 이외 시스템과 관련된 사고가 발생했을 때 그 책임을 누가 질 것인가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책임소재에 대해 저축은행 중앙회 관계자는 “IT아웃소싱 전문 업체는 서비스 제공업체와 서비스 수준, 장애발생시의 책임소재 등에 대한 SLA(서비스수준관리)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며 “향후 장애 책임소재 등에 대비해 필요하다면 SLA 관리체계 도입도 검토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강욱 기자>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