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리스크 관리 목적의 RBC·RAAS 등 도입 잇따를 듯
보험사 리스크관리(RM) 시장이 올해 크게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는 은행권 바젤Ⅱ 시장이 RM 시장을 주도했다면, 올해는 RAAS(리스크평가제도)와 RBC (리스크에 기반한 자기자본규제) 등이 도입되는 보험사가 이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RAAS, RBC는 모두 금융감독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규제 제도로 통합리스크 관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중 RAAS는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 시작될 예정이어서 보험사의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다.
RAAS는 36가지 기초, 보조, 정밀지표를 통해 리스크관리 등급을 부여받게 된다. 등급은 1~5등급으로 나눠지며 1등급은 리스크관리가 우수한 보험사로 분류돼 일상감시, 2등급은 주요감시, 3등급은 집중감시, 4~5등급은 비상감시 대상이 된다.
금융감독원은 이미 RAAS에 대한 시범평가를 지난해 하반기 전 보험사를 대상으로 시작했다. 몇 개 회사에 대해서는 실사를, 이외 보험사에 대해서는 자료를 취합해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이 분석 결과는 본격적인 RAAS 제도 도입에 앞서 내년 상반기까지 정리돼 규제에 반영될 예정이다.
보험사는 지난 2003년 감독원과 리스크관리에 대한 협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통합리스크 관리 기반 마련이 한창 진행 중이다.
손해보험사의 경우 ALM(자산부채관리)과 보험리스크 시스템 구축이 막바지에 돌입했으며, 생명보험사 중 일부는 신용리스크시스템 구축까지 완료했다.
후발 손보사, ALM 시스템 구축 막바지
지난해는 이미 구축된 리스크관리시스템의 정비가 프로젝트의 주류를 이뤘다. 대형 손해보험사에 속하는 동부, LG화재 등이 보험리스크시스템 구축 재정비에 돌입했다. 이중 LG화재는 보험리스크시스템 구축 막바지 단계에서 보험사로는 드물게 RDW(리스크 기반 DW)까지 구축하기도 했다. 또 중소형 손보사는 ALM 시스템의 구축에 나서고 있는데 대부분 올해 하반기까지는 완료할 계획이다. 이러한 흐름은 올해에도 중소형 생보사 중심으로 확산될 전망이다. 손보사 중에서는 삼성, 현대해상, 동부, LG, 동양, 제일, 신동아화재 등이 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
삼성, 현대해상, LG, 동부화재 등은 지난해 초까지 ALM 시스템 재정비를 마쳤으며, 동양, 제일, 신동아화재 등은 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
대한화재와 쌍용화재가 손보사 중에서는 막바지로 ALM 시스템 구축을 시작하면서 보험리스크 등 통합리스크 기반 마련에 착수했다.
대한화재의 경우 지난해 11월 국산 리스크관리 전문업체인 아침데이타시스템을 사업자로 선정해 솔루션 구축에 들어갔다. 쌍용화재도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해 지난달까지 협상을 완료하고 이번 달 본격적인 시스템 구축에 들어갈 예정이다. 대한화재는 DFA(유동 재정 분석) 등과 함께 통합 리스크 기반 마련을 위해 시장리스크시스템 등 기존에 구축된 관리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통합 작업도 진행했다.
보험사는 올 하반기에 이르면 1차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교보, 대한생명 등 시스템 도입이 빠른 보험사의 경우 시장·ALM·보험·신용리스크 등의 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
그러나 운영리스크 관리 시스템의 구축은 아직 활기를 띠지 못하고 있다. 국내 운영 리스크 사례가 은행을 중심으로 일부 존재하고 있지만 아직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지 못하고 있어 보험사도 시스템 도입에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
지난해 일부 보험사가 운영리스크 시스템 구축을 검토했으나 도입으로까지는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보험사는 우선 내부통제 기능을 하는 준법감시팀 등을 통해 리스크관리에 필요한 비 재무요소에 대한 관리 방침을 세워두고 있다. 이런 방침에 따라 비 재무리스크에 대한 개념 정립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