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에너지 등 도시 인프라에 정보통신 기술 결합…안전·관리 효율성 향상 기대

▲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아이티데일리]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방범·교통 등 기존에 단절된 각종 정보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계·활용하고 스마트 도시 안전망을 구축하는 ‘2018년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사업’의 대상 지자체를 공모를 통해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지자체는 서울시, 제주도, 용인시, 남양주시, 청주시, 서산시, 나주시, 포항시, 경산시, 고창군, 마포구, 서초구 등 12개다. 지난 1월부터 실시한 공모에는 전국 33개 지자체가 참여했으며, 선정된 지자체는 사업비 12억 원 중 6억 원을 각각 지원받게 된다.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은 교통·환경·에너지·수자원 등 각종 도시 인프라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연계·활용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하는 기반 소프트웨어로, 고가의 외국산 플랫폼 수입을 대체하기 위해 국가 연구·개발(R&D)사업으로 개발됐다.

방범·방재·교통 등 분야별 정보시스템을 연계·활용하기 위한 기반 소프트웨어인 해당 플랫폼의 개발에는 지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1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통합 플랫폼이 지자체에 적용되면 방범·방재·교통 등 도시의 주요 정보가 유기적으로 연계돼 도시 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보다 편리한 ‘스마트시티’로 운영될 수 있게 된다.

▲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5대 연계서비스

국토부가 경찰청·소방청 등과 협력해 2016년부터 개발한 5대 안전망 연계 서비스도 함께 보급된다. 5대 연계 서비스에는 ▲112센터 긴급영상 지원 ▲112 긴급출동 지원 ▲119 긴급출동 지원 ▲긴급재난상황 지원 ▲사회적 약자(어린이, 치매노인 등) 지원 등이 포함된다.

이는 112, 119 등 국가 안전재난 체계가 개별 운용돼 긴급 상황 시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한 골든타임 확보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구축하는 사업이다. 지자체와 112, 119, 사회적 약자(어린이, 치매인 등) 보호를 위한 정보시스템이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으로 연계돼 긴급 상황 시 골든타임 단축 등 국민안전 서비스가 크게 개선될 것이라는 게 국토부의 기대다.

국토부는 2022년까지 전국 80개 지자체에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을 보급해 4차 산업혁명의 기반 조성과 도시 안전망을 구축한다. 한편 서울시 등 광역 대도시와 인구가 적은 소규모 도시는 과기정통부 및 한국정보화진흥원 등과 협력,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해 3~4개의 지자체를 묶어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을 적용하는 기반구축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정경훈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지난 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18에서는 미래기술로 불리던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5세대 이동통신(5G) 등이 짧은 시간에 상용화돼 대부분의 제품에 적용되고, 음성인식과 인공지능(AI) 기반의 스마트홈, 자율주행차 기술의 놀라운 발전을 보여줬다”며, “향후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을 활용한 연결성을 바탕으로 자율주행차, 드론, 스마트홈 등이 도시 내에서 원활하게 운용될 수 있도록 지능화된 도시기반 조성을 서두르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