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기술 CTO 강영현 전무

[아이티데일리] 기업들의 클라우드 전환은 거부할 수 없는 흐름이 됐다. 애플리케이션이 비즈니스 경쟁력을 좌우하는 상황에서 클라우드가 주는 유연함과 확장성을 갖출 수 없다면 고객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힘들다. 물론 클라우드 전환만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담보할 수는 없다. 이에 대한 해답으로 클라우드 업계 전문가들은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라는 개념에 집중하며 클라우드 환경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에 컴퓨터월드/IT DAILY는 기업들이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효율성과 고려해야 할 사항 등을 제시하고자 지난달 6~7일 양일간 ‘2022 클라우드 네이티브 구현 전략 웨비나’를 개최했다. 국내 클라우드 업계 발전을 위해 바쁘게 뛰고 있는 산업계·학계의 전문가들로부터 클라우드 네이티브 구현 전략에 대해 들어본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의 자동화”

‘2022 클라우드 네이티브 웨비나’의 첫날 마지막 시간은 나무기술의 CTO인 강영현 전무가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의 자동화(Automation based on Cloud Native)’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나무기술 강영현 CTO
나무기술 강영현 CTO

강 전무는 먼저 자동화의 정의에 대해 설명했다. 설명에 따르면 자동화는 프로세스에서 인간의 개입을 줄이는 광범위한 기술을 말한다. 의사 결정 기준, 하위 프로세스 관계 및 관련 작업을 미리 결정하고, 자동화 도구에서 이러한 사전 결정을 구현해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클라우드의 확장과 함께 MSA가 도입되면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가 다양화됐고, 특히 이러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는 수천·수만 개 이상의 컨테이너로 구성돼 이를 오케스트레이션하고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로서 지능화 및 자동화가 자리하고 있다.

강영현 전무는 “자동화를 통해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고, 고객의 부담을 덜어주고,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추구하게 되는데 MSA는 많은 수의 컨테이너 포드(Pods) 구성과 복잡·다양한 운영환경 때문에 모든 과정에서 자동화(End to End Automation)가 필요하게 됐다”고 설명하고 “그러나 실제로 현장에서는 주로 운영, 시험, 설치 등의 자동화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고, 전체적인 관점에서는 생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짚으며 자동화 각 프로세스별 구성요소와 요건들을 살펴보는 발표를 이어갔다. 각 단계는 △계획(Planning) △개발(Development) △준비(Preparation)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운영(Operation) △유지보수(Maintenance) △시험(Test) △보고(report) 등으로 나뉜다.

마지막으로 강영현 전무는 엔드투엔드 자동화 관련 점검 및 고려사항에 대해 언급했다. 여기에는 △설계 프레임워크가 반드시 필요하며 △오케스트레이션이나 컨트롤 프레임워크를 수행해야 하고 △분석 프레임워크가 제공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영현 전무는 “자동화란 현장에서 작업을 하는 사람부터 계획, 설계, 구현, 배포, 운영, 유지보수, 시험, 보고서 작성까지 모든 과정을 자동화해 효과를 극대화하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자동화는 모든 시스템, 솔루션, 플랫폼, 프로세스 구축을 완료했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정책 기반의 지속적인 관리와 운영, 변화에 대한 대응과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강 전무는 “특히 굉장히 중요한 것이 지속적인 관리와 운영으로, 최대 78%까지 자동화를 해 놨던 시스템이 관리 및 운영, 유지보수를 6개월 동안 못하자 결국 28%로 즉각 떨어졌다”면서 “새로운 서비스와 솔루션, 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반드시 고려하고 동시에 변화에도 신속하게 대응해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발표를 마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아이티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